참고 항목
- 이 기능은 공개 미리 보기 버전에 있고 변경될 수 있습니다.
- 이 문서에 표시된 응답은 예제입니다. Copilot Chat 응답은 비결정적이므로 여기에 표시된 응답과 다른 응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.
Copilot을 사용하여 GitHub Issues로 프로젝트를 관리하세요. 이 자습서에서는 Copilot의 에이전트 이슈 생성 기능을 사용하여 제품 아이디어를 에픽, 기능, 작업으로 전환합니다. 에픽은 대규모의 작업 단위를 나타내는 반면, 기능과 작업은 이를 더 작고 실행 가능한 부분으로 나눕니다. 마지막에는 팀과 공유할 수 있는 구조화된 백로그를 얻게 됩니다.
프로젝트 개요
제품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SDLC(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)의 계획 단계에서는 프로젝트를 에픽, 기능, 더 작은 작업 단위로 나누어 아이디어를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전환합니다. 이를 통해 생각을 정리하고, 우선 순위를 설정하며, 팀이 개발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Copilot을 사용할 때, 이 프로세스를 주도하는 것은 사용자입니다. Copilot은 구조를 제안하고 세부 사항을 보완해 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작업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할지에 대해 사용자가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을 때,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Copilot은 사용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계획을 구체화하고, 확장하고, 문서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이 시나리오에서는 사용자가 다음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쇼핑 웹 사이트를 계획합니다.
- 범주와 검색을 통해 제품 카탈로그 탐색
-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
- 안전한 결제 완료
목표는 Copilot을 사용하여 이 비전을 신속하게 구조화된 프로젝트 계획으로 전환하고, 사이트의 각 부분을 포착하는 에픽과 세부적인 이슈를 만드는 것입니다.
리포지토리 설정
GitHub Issues가 활성화된 리포지토리를 설정합니다. 새 리포지토리 만들기을(를) 참조하세요.
기본적으로 새 리포지토리에는 이슈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. 기존 리포지토리를 사용하고 싶지만 Issues 탭이 보이지 않는 경우, 다음 단계에 따라 이슈를 활성화하세요.
- 리포지토리에서 Settings를 선택합니다.
- "Features"에서 Issues 확인란을 선택합니다.
프로젝트 이슈 생성
리포지토리를 설정하면 Copilot을 사용해 프로젝트 비전을 일련의 실행 가능한 이슈 집합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Copilot 몰입형 보기 시작
-
GitHub의 페이지 오른쪽 위에서 검색 창 옆에 있는 단추를 클릭합니다.
Copilot Chat의 전체 페이지 몰입형 모드가 표시됩니다.
-
채팅 패널을 사용해 쇼핑 웹 사이트의 리포지토리를 연결합니다. 그러면 Copilot이 해당 리포지토리에 액세스하여 직접 이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에픽 이슈 만들기
- 프롬프트로 자세한 프로젝트 설명을 입력합니다. 예시:
I’m planning to create a shopping website in React and Node.js. The site should allow users to browse products by category, search for items, add products to a cart, and complete checkout. Please help me plan the project by creating issues and breaking it down into epics, features, and tasks.
- 프롬프트를 제출합니다. Copilot은 일반적으로 맨 위에 에픽이 있고, 각 주요 기능 또는 작업에 대한 하위 이슈가 있는 이슈 트리를 생성합니다.
이슈 트리 탐색하기
-
워크벤치에서 에픽을 클릭하며 세부 정보를 확인합니다. 워크벤치를 통해 이슈 트리를 탐색하세요.
-
각 이슈에는 보통 제목과 설명이 포함됩니다. 레이블 또는 담당자와 같은 추가 메타데이터는 워크벤치에서 직접 편집할 수 있습니다.
-
하위 이슈를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프로젝트의 특정 부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
이슈 트리는 프로젝트 구조에 대한 명확한 개요를 제공하여 에픽, 기능, 작업 간에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-
이 초안의 첫 번째 반복에서는 Copilot이 상위 수준의 이슈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이슈를 더 작은 작업 또는 기능으로 세분화하여 더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. 이제 "Feature: UI Skeleton and Navigation" 이슈를 세분화해 보겠습니다.
Copilot에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하세요.
Can you break down the issue "Feature: UI Skeleton and Navigation" into smaller tasks?
Copilot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개의 새로운 하위 이슈를 생성합니다.
- 작업: React 프로젝트 구조와 초기 파일 설정
- 작업: 주 경로를 위한 자리 표시자 페이지 만들기
- 작업: 사이트 전체에 적용되는 탐색 표시줄 구성 요소 구현
- 작업: 라우팅과 탐색 통합
- 작업: 기본 반응형 레이아웃 추가
-
이 프로세스를 에픽 내 나머지 기능 이슈에도 반복합니다.
이슈 설명 개선하기
이슈 트리 생성을 완료한 후, Copilot이 만든 이슈 설명이 짧거나 불분명할 수 있습니다.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들려면, 필요에 따라 각 이슈를 다듬으세요.
-
"작업: 주 경로를 위한 자리 표시자 페이지 만들기"와 같이 새로 생성된 이슈부터 시작합니다.
Copilot에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하세요.
Can you improve the description for “Task: Create placeholder pages for main routes”? Please provide a detailed technical summary, list the main routes to be included, outline the steps for implementation, and specify what should be delivered for this task.
-
Copilot은 "작업: 주 경로를 위한 자리 표시자 페이지 만들기"라는 초안 이슈의 새 버전을 생성합니다.
이슈 왼쪽 상단에서 버전 드롭다운을 클릭하고 Version 2를 선택하여 새로운 변경 내용을 검토하세요.
-
Copilot의 수정된 버전을 유지할지, 추가로 편집할지, 더 자세한 설명을 다시 요청할지 검토하여 결정합니다.
-
에픽 내 다른 이슈에도 이 프로세스를 반복하면서 필요에 따라 설명을 구체화하고, 작업을 세분화합니다.
-
이슈 설명에 만족하면, Create all을 클릭하여 리포지토리에 이슈를 생성합니다.
이슈 연결 해제하기
Copilot이 이슈 트리에 속하지 않는 하위 이슈를 생성하는 경우, 이슈 트리에서 연결 해제할 수 있습니다.
- 워크벤치 이슈 트리에서 하위 이슈 옆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한 다음, Unlink sub-issue를 클릭합니다.
- 해당 이슈는 부모와의 연결이 해제되며, 트리의 해당 에픽 아래에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.
다음 단계
이제 프로젝트 이슈를 생성하고 구체화했으니, 이제 각 이슈를 적합한 팀원에게 할당하거나 Copilot에게 맡겨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Copilot 또는 기여자를 이슈에 할당하는 방법과 Copilot의 에이전트 기능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계속 계획하고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GitHub Copilot에게 끌어오기 요청을 생성하도록 요청을(를) 참조하세요.